현재 세계 표준시는 UTC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GMT와 큰 구분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 표준시인 KST와는 9시간 차이로 UTC 기준 한국이 9시간 더 빠릅니다. 시차는 자동 변환 사이트를 이용하면 한 번에 비교가 가능합니다.
표준시란?
시간은 경선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이 경선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입니다.
※ 세계 표준시의 기준 =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 0˚

① 경선 = 지구의 세로선
② 경선 개수
● 경선 = 1˚ 당 한 개
● 360˚ = 총 360개
③ 동경과 서경
● 동경 :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을 동경이라고 합니다.
- ⇒ 그리니치 천문대보다 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로 표현합니다.
● 서경 :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을 동경이라고 합니다.
- ⇒ 그리니치 천문대보다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로 표현합니다.
④ 1˚ 당 시간 차이
● 지구는 하루에 1바퀴를 돕니다. = 24시간 동안 360˚를 돌게 됩니다.
▶ 360˚ ÷ 24(시간) = 15˚
⇒ 즉 1시간에 15˚씩 지구는 움직입니다.
⇒ 경선이 15˚ 차이가 나는 국가는 세계표준시와 비교했을 때 1시간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리니치 표준시 GMT
※ GMT = Greenwich Mean Time
● 기준 : 영국 런던 그리니치 천문대
● 공식 사용 기간 : 1925년 ~ 1972년
⇒ 지구 자전이 조금씩 늦춰지면서 새로운 협정 세계시(UTC)가 재정되게 됩니다.
협정 세계시 UTC
※ 1972년 1월 1일부터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시
① UTC 유래
● 자전과 공전의 미세한 변화가 초 단위의 오차를 발생시켰고 이를 보안하기 위해 도입되게 됩니다.
● 영어권 CUT(Coordinated Universal Time) + 프랑스어권 TUC(Temps Universel Coordonne)
⇒ 서로 자기네 것으로 하자고 싸우게 되어 합의를 하게 됩니다.
⇒ ‘C’, ‘U’, T로 모두 구성되어 있어 ‘UTC’로 불리게 됩니다.
⇒ UTC = Universial Time Coordinate
② GMT = UTC ?
GMT와 UTC의 시간 차이는 소수점 차이로 미미하여 현재도 같은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합니다.
일상생활에서는 크게 구분하지 않으나 기술적 표기에는 UTC로 표기합니다.
한국 표준시 KST
※ KST = Korea standard Time 대한민국 표준시
① 대한민국 경도 : 동경 124˚ ~ 132˚
⇒ 하지만 일본 표준시의 기준인 동경과 동일한 135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② 135˚를 기준으로 하게 된 배경
⇒ 1912년 1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동경 135도 기준인 일본 표준시와 동일하게 대한민국 표준시를 변경
⇒ 국제사회에서 교류의 편리를 위해 현재까지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표준시 사용
⇒ 동경 135˚ = UTC보다 9시간 빠릅니다.
ex)
● 한국 = UTC+9 (동경 135도)
● 중국 = UTC+8 (동경 120도)
● 미국 동부 = UTC-5 (서머타임 기간 : UTC-4)
▶ 각 나라별 UTC, PST 비교 및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 세계 각 지역을 검색하면 자동으로 시차 계산을 해주기 때문에 한 번에 비교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