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 한글날 의미, 한글날 역사 및 유래 (한글 자음 모음 개수)

세종대왕 때 완성된 훈민정음이 지금의 한글입니다. 처음 한글날은 10월 29일로 지정되었으나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에 기록된 문서를 토대로 10월 9일이 한글 날로 지정되게 됩니다. 한글날은 5대 국경일로 법정 공휴일에 해당합니다.



※ 본문 내용 미리 보기

  1. 한글날 유래
  2. 한글의 역사
  3. 한글 구성
  4. 한글날 공휴일 연휴 기간



1. 한글날 유래

▶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에 ‘세종 28년 9월 상순’으로 적혀있어 이를 바탕으로 10월 9일을 한글 날로 지정하게 됩니다.

한글날 유래


(1) 은밀히 추진된 한글 만드는 작업

세종의 한글을 제작하는 작업은 은밀하고 비밀리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이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왕과 관련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날짜와 과정이 빠져있습니다. 실록에는 1443년 12월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 3년 뒤인 1446년 9월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라고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2) 처음 한글날 ’10월 29일’

훈민정음이 완성된 1446년 9월을 한글이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시기로 보자는 의견이 수립되고 정확한 날짜가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9월 그믐날로 가정합니다.

이날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9일이 한글날이 됩니다.


(3) ’10월 9일’ 한글날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이 발견됩니다.

그 원본의 서문에는 ‘세종 28년 9월 상순’이라고 날짜가 명시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정확한 날짜는 아니지만 처음 그믐이라고 가정했던 것보다는 좀 더 앞으로 당겨야 하는 필요가 생기면서 20일 정도 앞당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한글날은 지금까지 10월 9일이 되었습니다.



2. 한글의 역사 (한글의 다른 이름)

▶ 훈민정음 ⇒ 언문 ⇒ 정음, 국문 ⇒ 한글


ⓐ 훈민정음

한글을 처음 세종이 만들 때는 ‘훈민정음’이라고 지칭했습니다. 이는 ‘백성을 가르치는 데 사용할 바른 소리(글자)’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 언문

처음 훈민정음이 나왔을 때는 양반 사대부들의 환영을 받지 못했습니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 유지되어 왔기 때문에 한자와 한문을 높이고 한글을 경시하는 분위기가 만연했습니다. 때문에 한자는 ‘진서’라고 불리고 한글은 ‘언문’이라 불렸습니다.


ⓒ 정음, 국문

시간이 지나고 개화기에 이르러 우리 민족의 글인 한글이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정음, 국문 등의 명칭으로 불리게 됩니다.


ⓓ 한글

이후 ‘주시경’이 우리 말과 글에 처음으로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여 사용하게 됩니다. 주시경은 개화기에 한글에 큰 애정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힘쓴 사람입니다. 그 이후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되며 지금까지 쓰이게 됩니다.



3. 한글 구성 (자음 모음 개수)

▶ 기본 자모 (24자) = 자음 글자 + 모음 글자

● 자음 (14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모음 (10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 복합 자모 (21자) = 자음 글자 + 모음 글자

● 자음 (5자)

ㄲ, ㄸ, ㅃ, ㅆ, ㅉ

● 모음 (11자)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4. 한글날 공휴일 연휴 기간

● 2012년 이후로 공휴일이 아니었던 한글날은 작년 2023년부터 법정공휴일로 재지정되었습니다.

⇒ 올해 10월 9일 한글날은 수요일로 3일 연차 사용 시 최대 7일간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4년 한글날 연휴


2025년 한글날 연휴 기간 : 10월 3일 ~ 10월 9일 (총 7일 연휴)

⇒ 내년 한글날은 개천절이 금요일인데다가 그다음 주가 바로 추석으로 총 7일을 연달아 쉴 수 있게 됩니다.

2026년 한글날 연휴 기간 : 10월 9일 ~ 10월 11일 (총 3일 연휴)

2027년 한글날 연휴 기간 : 10월 9일 ~ 10월 11일 (대체 공휴일 적용 시 총 3일 연휴)

2028년 한글날 연휴 기간 : 9월 30일 ~ 10월 9일 (총 10일 연휴)

⇒ 금요일 연차 하루 사용 시 최대 10일까지 연달아 쉴 수 있어 손꼽히는 연휴 기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