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출산 지원금, 2025년 출산 장려금 종류에는 임신 바우처, 첫 만남 이용권, 부모 급여, 아동 수당 등이 있습니다. 그 외 전기 요금 30% 감면, 산후조리 경비 지원, 지자체 지원금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므로 미리 체크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 본문 내용 미리 보기
- 임신 바우처 제공
- 첫 만남 이용권 제공
- 부모 급여
- 아동 수당
- 그 외 지원 혜택
- 전기 요금할인
- 산후조리 경비 지원
- 출산장려금 지원
출산 지원금 ① 임신 바우처
▶ 산부인과에서 임신 확인 후 임신확인서를 받게 되면 단태아의 경우 100만 원, 다태아의 경우 140만 원을 지급합니다.
● 지원 방법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원
● 사용처 : 병원, 약국, 한의원 등
● 사용 기간 : 분만예정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 가능
출산 지원금 ② 첫 만남 이용권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부터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을 지급합니다.
● 지원 방법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원
● 신청 기간 : 생후 1년 이내
● 사용 기간 : 출생일로부터 2년 동안 사용 가능 (1년 ⇒ 2년 변경)
● 사용처 : 유흥업소, 레저 업소, 성인 용품 등 기타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에서 사용 가능
● 신청 방법 : 아기 출생신고 완료 후 신청 가능
- 오프라인 신청 :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출생증명서, 보호자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필요)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정부 24 사이트 신청
● 문의 전화 : 042) 606-7216 (여성가족과)
※ 쌍둥이인 경우?
ex)
● 초산 쌍둥이 : 첫째 + 둘째 = 200 + 300 = 500만 원
● 경산 쌍둥이 : 둘째 + 셋째 = 300 + 300 = 600만 원
출산 지원금 ③ 부모 급여
▶ 만 0세 ~ 만 2세 아이를 양육하는 출산 가구에 지급되는 수당
● 지급 금액
만 0세 ( 0 ~ 11개월) : 매달 100만 원
만 1세 (12 ~ 23개월 ) : 매달 50만 원
● 지급 조건
가정 보육 시 100% 지급
어린이집을 다니는 경우 원비 차감 후 금액 수령
● 신청 방법
출생 신고 60일 이내 신청 (소급 적용 x)
※ 지급일 : 매월 25일
▶ 15일 지난 후 출생 신고 시 이번 달 + 다음 달 두 달분이 합쳐서 다음 달에 들어옵니다.
ex) 10월 18일 출생 신고 및 수당 신청
⇒ 11월 25일 200만 원 (10월 100만 원 + 11월 100만 원)
15일 이전 출생 신고 시 이번 달에 입금됩니다.
ex) 10월 8일 출생 신고 및 수당 신청
⇒ 10월 25일 100만 원
출산 지원금 ④ 아동 수당
▶ 만 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에 지급되는 수당
● 지급 금액 : 매달 10만 원
● 신청 방법 : 출생 이후 부모 급여 신청 시 함께 신청
● 지급일 : 매월 25일
※ 신청 방법
▶ 첫 만남 이용권, 부모 급여, 아동수당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생 신고 시 원스톱으로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준비물 : 남편 신분증, 출생증명서, 수당 받을 통장 사본, 국민행복카드 카드사 + 명의자 정보
그 외 지원 혜택
① 전기 요금 할인
▶ 만 3세 미만 아동이 있는 가정은 전기 요금의 30% 감면 (소급 적용 x)
● 신청 방법 : 전화 신청 (123)
② 산후조리 경비 지원
산후조리 경비 지원은 지자체마다 지원 금액 및 유무가 다르니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서울시
● 지원 금액 : 100만 원 (인 당)
● 사용처
- 50만 원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산후도우미 서비스에 사용 가능)
- 50만 원 : 산후조리 경비 (건강식품, 의료비, 운동, 마사지 등에 사용 가능)
※ 9월 1일부터 100만 원 통합 사용으로 변경됩니다. 2024년 출산 산모부터는 50만 원 사용처 구분 없이 100만 원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기한은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입니다.
ⓑ 경기도
●지원 금액 : 50만 원 (인 당)
③ 출산장려금 지원
출산장려금은 지자체마다 지원 금액이 다릅니다.
ex)
지역 | 지원 금액 |
전북 전주 | 첫째 30만 원 / 둘째 50만 원 / 셋째 100만 원 셋째아 이상 100만 원 + 120만 원 분할 지급 |
충남 천안 | 첫째 30만 원 / 둘째 50만 원 / 셋째 100만 원 |
인천 서구 | 첫째 30만 원 / 둘째 50만 원 / 셋째 150만 원 넷째 이상 250만 원 |
충청북도 | 1,000만 원 1년마다 6회 분할 지급 |
경기 평택 | 첫째 50만 원 / 둘째 120만 원 /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제주도 | 첫째 50만 원 / 둘째 이상 1,000만 원 분할 지급 |
경북 포항 | 첫째 50만 원 둘째 240만 원 / 셋째 360만 원 분할 지급 + 첫돌 축하금 50만 원 |
서울 강남 | 첫째 200만 원 / 둘째 200만 원 / 셋째 300만 원 넷째 이상 500만 원 |
경기 고양 | 첫째 100만 원 / 둘째 200만 원 / 셋째 300만 원 넷째 500만 원 / 다섯째 이상 1,000만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