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대 지진 규모별 순위(경북 규모 5.8), 전 세계 역대 지진 규모별 순위(칠레 규모 9.5), 사망자별 순위 (아이티 31만 6천 명) 및 최근 지진 발생 현황, 1978년 이후 우리나라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총 9회 발생했습니다.
※ 본문 내용 미리 보기
1. 우리나라 역대 지진 순위
- 규모별 순위
2. 전 세계 역대 지진 순위
- 규모별 순위
- 사망자별 순위
3. 최근 지진 발생 현황
- 국내
- 국외
4.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일까?
1. 우리나라 역대 지진 규모 순위
▶ 역대 10위 권 내 발생 지역
발생 지역 | 횟수 | 규모 |
경상북도 | 4회 | 5.8 / 5.4 / 5.2 / 5.1 |
충청북도 | 1회 | 5.2 |
충청남도 | 2회 | 5.1 / 5.0 |
울산광역시 | 1회 | 5.0 |
인천광역시 | 2회 | 5.0 / 4.9 |
전라남도 | 3회 | 4.9 |
⇒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지진 빈도가 잦아지고 규모도 더 더 커졌습니다. 경상북도 지역에 발생한 지진이 1, 2, 3위 권에 있을 정도로 규모도 가장 크고 빈도 수도 가장 많습니다.
(1) 1위 : 규모 5.8
● 발생 연월일 : 2016년 9월 12일
● 발생 지역 :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
(2) 2위 : 규모 5.4
● 발생 연월일 : 2017년 11월 15일
● 발생 지역 :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역
(3) 3위 : 규모 5.2
①
● 발생 연월일 : 2004년 5월 29일
● 발생 지역 :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74km 해역
②
● 발생 연월일 : 1978년 9월 16일
● 발생 지역 : 충북 속리산 부근 지역 (경북 상주시 북서쪽 32km 지역)
(4) 5위 : 규모 5.1
①
● 발생 연월일 : 2016년 9월 12일
● 발생 지역 :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2km 지역
②
● 발생 연월일 : 2014년 4월 1일
● 발생 지역 :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km 해역
(5) 7위 : 규모 5.0
①
● 발생 연월일 : 2016년 7월 5일
● 발생 지역 :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역
②
● 발생 연월일 : 2003년 3월 30일
● 발생 지역 : 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88km 해역
③
● 발생 연월일 : 1978년 10월 7일
● 발생 지역 : 충남 홍성군 동쪽 3km 지역
(6) 10위 : 규모 4.9
①
● 발생 연월일 : 2013년 5월 18일
● 발생 지역 : 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
②
● 발생 연월일 : 2013년 4월 21일
● 발생 지역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북서쪽 101km 해역
③
● 발생 연월일 : 2003년 3월 23일
● 발생 지역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88km 해역
④
● 발생 연월일 : 1994년 7월 26일
● 발생 지역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서북서쪽 128km 해역
2. 전 세계 역대 지진 순위
(1) 규모 순
⇒ 19세기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은 칠레 대지진입니다.
⇒ 규모 9.5의 매우 강력한 지진으로 1655명이 사망하고 200만 명이 터전을 잃었던 지진으로 인구 밀집 지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규모에 비해 사망자는 적었지만 피해는 심각했습니다.
(2) 사망자 순
⇒ 역대 지진 중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지진은 2010년 1월 12일 아이티에서 발생한 규모 7의 지진입니다.
⇒ 사망자가 무려 30만 명 이상으로 엄청난 희생자를 발생시킨 사건으로 그 이후에도 지진, 홍수 등이 발생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막대한 지역입니다.
3. 최근 지진 발생 현황
(1) 국내
▶ 한반도에서 2024년 올해 규모 3 이상의 지진 발생 횟수는 총 2건입니다.
발생일 | 규모 | 지역 |
1월 31일 | 3.8 | 제주 서귀포시 이어도 북동쪽 62km 해역 |
6월 12일 | 4.8 |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 |
⇒ 가장 최근에 발생한 전북 부안군 지역의 지진은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 33회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합니다. 해당 지진은 4.8 규모의 본진 이후 총 16회의 여진이 추가 발생했습니다.
(2) 국외
▶ 전 세계에서 2024년 올해 규모 7 이상의 지진 발생 횟수는 총 3 건입니다.
발생일 | 규모 | 지역 |
1월 1일 | 7.4 | 일본 혼슈 도야마 북쪽 90km 해역 |
1월 23일 | 7.0 | 중국 신장위구르 아커쑤 지구 서쪽 136km 지역 |
4월 3일 | 7.2 | 대만 화롄현 남남동쪽 23km 해역 |
⇒ 대만에서 발생한 규모 7.2 지진은 사망자 19명으로 지진의 세기 대비 적은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25년 전 2,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난터우 대지진을 겪으며 대만의 내진 설계와 재난 대비 시스템을 강화한 덕분이라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4.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최근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와 횟수만 봐도 무시할 수 있는 강도가 아닙니다.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옛 문헌에서도 그리고 계기 지진 관측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 역사 문헌 기록
① 『삼국사기』
- 서기 2년 고구려 유리왕 21년 8월 지진 발생
- 779년 신라 혜공왕 15년 3월 경주 지진 발생 (규모 6.7 추정)
② 『조선왕조실록』
- 1,500건 이상의 지진 기록
- 1643년 인조 21년 7월 울산 지진 및 해일 발생
▶ 실제 계기 관측 기록
● 한반도 계기 지진 관측 – 1905년도 인천에 기계식 지진계 한 대를 설치하며 시작
● 본격 계기 지진 관측 – 1978년부터 기상청에서 본격적으로 관측 시작
⇒ 78년 이후 한반도 남쪽에서 발생한 규모 5.0 이상의 지진 : 총 9회
⇒ 가장 강력했던 지진 : 2016년 규모 5.8의 경북 경주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