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 상품권 할인율은 평소 5~10%이지만 연휴와 같은 특별 할인 기간에는 10 ~ 15%까지 할인율을 적용받습니다. 10일부터 사용처가 늘어나며 전통시장 및 상점에 위치한 학원, 병원, 노래방, 동물 병원 등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본문 내용 미리 보기
1. 온누리 상품권이란?
2. 온누리 상품권 판매처
3. 온누리 상품권 구매 & 충전 방법
4.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1. 온누리 상품권이란?
⇒ 전통시장, 지역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으로 전국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 발행 목적 : 지역 경제 활성화
● 가격 : 5% ~ 10% 할인
● 특별 할인 기간 가격 : 10% ~ 15% 할인
● 1인 월 구매 한도 : 200만 원
2. 온누리 상품권 판매처
(1) 지류 상품권
▶ 은행 구매
⇒ 신한은행, 우리은행, KB 국민은행, DGB 대구은행, BNK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BNK 경남은행, 수협, 신협, NH농협은행, 우체국, MG 새마을금고, IBK 기업은행, SH수협은행, 하나은행
(2) 모바일 상품권
▶ 모바일 앱 다운로드 후 구매
⇒ 온누리 페이, 비플페이
(3) 충전식 카드형
▶ 온누리 상품권 앱 다운로드 후 충전
⇒ 신한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NH 농협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KB 국민카드
● BC 이용 가능 카드 : 기업, 농협, 우리, BC 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광주, 우체국
● KB 이용 가능 카드 : 국민, 전북
3. 온누리 상품권 구매 & 충전 방법
(1) 구매식
① 지류 상품권
● 온누리 상품권은 지류 상품권을 판매하는 은행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지류 상품권의 경우 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추석, 설날 등 연휴 특별 할인 기간에 구매 시 10% 할인율을 적용받습니다.
② 모바일 상품권
● 온누리 페이 또는 비플페이 앱을 다운로드해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여 사용합니다. 명절 연휴 특별 할인 기간에는 충전식 상품권과 동일하게 15% 할인율로 적용받습니다.
▶ 구매 방법
⇒ 앱 다운로드 (온누리 페이, 비플페이)
⇒ 회원가입
⇒ 거래 승인번호 6자리 설정
⇒ 앱에서 온누리상품권 구입
⇒ 상품 구매 시 가맹점 QR 바코드를 촬영하여 금액 입력 후 전송 및 결제
(2) 충전식
● 본래 소지하고 있는 카드 중 하나를 온누리 상품권 APP에 등록한 후 그 카드에 금액을 충전합니다. 충전 후 별도 카드 발급이 필요 없이 등록 및 충전한 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 충전식 카드형은 모바일 상품권과 동일하게 평소에는 10% 할인율로 특별 할인 기간에는 15% 할인율로 적용받습니다.
▶ 구매 방법
⇒ 플레이스토어에서 ‘온누리 상품권’ 앱 다운
⇒ 회원가입 (이름, 생년월일, 통신사)
⇒ 결제수단 등록 (계좌 등록 or 카드 등록)
⇒ 등록 카드에 금액 충전
⇒ 온누리 가맹점에서 등록 카드로 결제 시 충전 금액 내에서 자동 차감
※ 주의 사항
⇒ 결제 시 온누리 상품권의 충전 금액이 부족할 경우 전액 신용/체크 카드 결제 지불됩니다.
ex) 충전 잔액 = 26만 원
● 상품 가격 25만 원 ⇒ 온누리 상품권 충전 금액에서 25만 원 결제
● 상품 가격 27만 원 ⇒ 신용 / 체크 카드로 27만 원 결제
▶ 충전 금액 부족 시 부족 분만 신용·체크 카드 결제가 아닌 전액 다 신용·체크 카드로 결제됩니다.
4.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 온누리 상품권은 9월 10일부터 업종 제한이 풀려 사용처가 아래와 같이 대폭 확대됐습니다.
● 전통시장 (시장 내 식자재마트 사용 가능)
● 상점가에 있는 음악, 미술 학원, 태권도, 요가, 필라테스 등 체육관, 병원, 의원, 치과, 동물 병원, 법무·세무사무소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분류 | 사용처 |
교육서비스업 | 음악, 미술, 외국어, 직업 훈련, 운전, 컴퓨터, 기타 교습 학원, 태권도 및 무술, 레크리에이션, 기타 스포츠 교육기관 등 |
보건업 | 요양병원, 치과, 한방병원, 종합병원, 일반 의원 등 |
법무 관련 서비스업 | 변리사, 법무사, 행정사, 노무사 등 |
회계 및 세무 관련 서비스업 | 회계사, 세무사 등 |
수의업 | 동물 병원 |
탐정 및 조사 서비스업 | |
골프장 운영업 | |
노래 연습장 운영업 | 노래방 |
점술 및 유사 서비스업 | |
담배 중개업 | |
잎담배 도매업 | |
담배 도매업 | |
모피 제품 도매업 |
※ 사용 불가 매장
●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형 상업시설
● 상점가 입시학원 (ex-수학학원)
● 온라인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