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동행 카드는 1월 23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서울시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전철의 경우 신분당선 외에도 인천, 세종, 경기도 등 서울시 외곽으로 빠지는 경우 빠지기 전 역까지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세 지도 참고)
기후 동행 카드란?
● 월 정액 지불 후 이용하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
● 서울시에서 1회 요금 충전 후 지하철, 버스, 자전거 등 모든 대중교통을 한 달 동안(30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 금액의 일부를 기후변화 대응에 기부하는 친환경 교통 카드
ex) 65,000원 지불 시 5,000원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
● 사업 기간 : 2024년 1월 27일 (토) ~ 2024년 6월 30일 (일)
카드 신청 및 비용
1) 월 비용
월 요금제는 아래와 같이 자전거 이용 유무에 따라 둘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서울 지역 내 지하철 + 버스 + 자전거 : 65,000원
● 서울 지역 내 지하철 + 버스 : 62,000원
2) 카드 신청 방법
기후 동행 카드는 실물 카드와 모바일 카드 두 가지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실물 카드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개시 일자 : 2024년 1월 23일 (화)
● 장소
- 모바일 카드 : ‘모바일 티머니’ 앱
- 현장 카드 : 서울교통공사 1~8호선 역사 내 고객 안전실 or 역사 인근 편의점 구매 가능
● 카드 비용
- 모바일 카드 : 무료
- 실물 카드 : 현금 3,000원
기후 동행 카드 이용 방법
▶ 모바일 카드
①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아이폰 불가)
② 회원가입
③ ‘기후 동행 카드’ 발급 및 충전
▶ 실물 카드
① 역 고객 안전실 or 편의점에서 카드 구매
②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에 구매한 카드 등록 (카드 뒷면 QR코드 이용)
⇒ 1인 1카드 원칙 (등록해야 이용 가능)
③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
⇒ 서울교통공사(1호선~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위치
※ 카드 충전 후 5일 이내로 사용 개시일 선택 가능합니다. 사용 개시일 선택 후 해당 날짜부터 30일 동안 이용 가능합니다.
(1월 23일 충전 시 1월 27일부터 사용 가능)
기후 동행 카드 이용 가능 범위
기후 동행 카드는 우선 서울시 내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후 이용 가능 범위가 넓어지기 전에는 경기도 출퇴근의 경우에는 이용 혜택을 볼 수 없습니다.
① 이용 가능 범위
● 서울 지역 지하철
●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자전거
② 지하철 가능 노선 (상세)
● 1호선 : 온수역 ~ 도봉산역, 금천구청 ~ 도봉산역
● 2호선, 6호선, 8호선, 9호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 전 구간
● 3호선 : 지축역 ~ 오금역
● 4호선 : 남태령역 ~ 당고개역
● 5호선 : 방화역 ~ 마천역, 방화역 ~ 강일역
● 7호선 : 온수역 ~ 장암역
● 공항철도 : 김포공항 역 ~ 서울역
● 경의중앙선 : 수색역 ~ 양원역, 수색역 ~ 서울역
● 수인 분당선 : 청량리역 ~ 복정역
● 경춘선 : 청량리역 ~ 신내역
③ 지하철 이용 제외 노선
● 신분당선
● 서울 지역 외 지하철 노선
● 광역 / 공항버스
● 타 지역 면허 버스
※ 버스 : 서울 지역 외 승·하차 사용 가능
※ 지하철 : 서울 지역 내 역 승차 ⇒ 서울 지역 외 하차 사용 불가
ex) 4호선 서울역 상차 ⇒ 4호선 정부과천청사역 하자 (이용 불가)
기후 동행 카드 환불 방법
실물 카드 발급자의 경우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를 등록한 사람에 한해서만 환불이 가능합니다.
⇒ 카드 미등록 시 환불 불가
● 환불 가능 기간 : 사용 기간 만료 전 (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
● 환불액 : 카드 충전 금액 – 대중교통 실 사용액 – 수수료 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