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 번호는 82입니다. 국내에서 국내로 전화를 걸 때는 사용하지 않지만 외국으로 전화를 걸 때는 꼭 필요한 번호가 국가 번호입니다. 각 나라마다 국가 번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국에 전화를 걸 때는 해당 국가의 국가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국가 번호 및 지역 번호
나라마다 국가 번호가 있는 것처럼 나라 안에서도 지역마다 지역 번호가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가 핸드폰에 발신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유선 전화의 경우에는 어느 지역에서 전화를 걸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지역 | 지역 번호 | 지역 | 지역 번호 |
서울 | 02 | 세종 | 044 |
부산 | 051 | 경기 | 031 |
대구 | 053 | 강원 | 033 |
인천 | 032 | 충북 | 043 |
광주 | 062 | 충남 | 041 |
대전 | 042 | 전북 | 063 |
울산 | 052 | 전남 | 061 |
경북 | 054 | 제주 | 064 |
경남 | 055 |
나라 별 국가 번호
나라 별 국가 번호는 아래와 같이 알파벳 A~Z 순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캐나다와 미국 같은 경우 국가 번호를 모두 1번으로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꼭 국제 전화가 아니더라도 SNS 등으로 소통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한 앱 들은 가입 시 국가 번호를 포함한 연락처를 기입하도록 하고 기입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거주하는 나라의 국가 번호는 알아 놓는 것이 편리합니다.
국제 전화 거는 방법
카카오톡이나 위챗 등 SNS를 통한 소통이 대중화되면서 음성 전화 뿐만 아니라 화상 전화까지 지원되는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이 와이파이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외진 곳이나 네트워크 망이 촘촘하게 깔려있지 않은 국가의 경우 와이파이 속도가 느리거나 잘 터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해외에서 긴급하게 연락할 일이 발생할 때 국제 전화를 통해 연락을 취할 수 있습니다.
국제 전화 걸 때 순서
휴대폰으로 걸 때 : 국제 전화 서비스 번호 + 국가 번호 + 전화번호
유선 전화로 걸 때 : 국제 전화 서비스 번호 + 국가 번호 + 지역 번호 + 전화번호
국제 전화를 걸 때는 처음 국제 전화 서비스 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국제 전화 서비스 번호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번호로 SKT는 00700, LG U+는 002, KT는 001을 제공합니다. 꼭 사용 중인 통신사를 이용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그다음은 전화를 걸 상대 국가의 국가 번호를 입력합니다. 중국일 경우 86을 미국일 경우 1을 입력합니다.
휴대폰 전화는 바로 입력하면 되지만 유선 전화일 경우에는 지역 번호를 누른 후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우리가 국내에서 전화를 할 때도 핸드폰 번호는 어느 지역에서 전화하는지 뜨지 않지만 유선 전화의 경우 지역 번호가 뜨는 것과 같은 논리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국제 전화 예시
KT 통신사망을 사용해서 미국 LA 친구에게 전화를 걸려면?
001(KT 통신망) + 1(미국 국가 번호) + 213(LA 지역 번호) + 345+6789(유선 번호)
미국의 경우 휴대폰 번호 부여 시 앞에 지역 번호가 붙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핸드폰 앞에 숫자인 ‘010’과 같은 역할을 미국은 지역 번호가 하고 있기 때문에 유선 전화에 거는 방법과 휴대폰 번호로 거는 방법이 똑같습니다. 또한 핸드폰 번호나 지역 번호 모두 처음 번호 시작이 0으로 시작할 경우 앞에 ‘0’은 생략하고 입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