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축의금 기준, 축의금 15만 원은? (+축의금 봉투 이름)

결혼 축의금 기준을 잡을 때 얼마나 친한지, 결혼식 참석 시 식사를 하는지, 나에게 축의를 얼마 했는지 등을 고려하면 대략 어느 정도 축의를 해야 하는지 액수가 나옵니다. 보통 함께 가는 사람이 있다면 5만 원 정도 추가로 내기도 합니다.




※ 본문 내용 미리 보기

1. 2025년 결혼 축의금 액수

2. 역대 축의금 평균 액수

3. 축의금 봉투 쓰는 법




1. 2025년 결혼 축의금 액수

결혼식 축의금 액수가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평균적으로 5만 원에서 10만 원 사이로 축의를 합니다. 나에게 축의금을 준 사람이라면 똑같은 액수로 축의 하기도 합니다.


(1) 축의금 고려 요건

① 나와 얼마나 가까운 사이인가?

② 결혼식에 참석하여 식사를 하는지 ⇒ 식대 고려

③ 나에게 축의를 했는가? 했다면 얼마나 했는가? ⇒ 보통 상대방과 같은 금액으로 축의


(2) 축의금 기준

결혼 축의금 기준


● 3만 원 : 거의 일면식이 없는 사람

⇒ 결혼식은 안가고 축의만 할 경우 가끔 볼 수있는 금액인데 사실 안하는 만 못하는 금액이라고 생각합니다.

● 5만 원 : 지인, 회사 동료

⇒ 사무적인 관계, 식대 유무와 관계없이 5만 원

● 10만 원 : 가까운 지인, 친구, 회사 동료

⇒ 자주 만나는 경우, 혼자 가지 않고 배우자도 함께 가는 경우 식대 고려하여 10만 원

● 15만 원 : 애매한 관계

⇒ 10만 원 주기에는 좀 더 주고 싶고 20만 원 주기엔 좀 많은 애매한 관계

● 20만 원 : 친한 친구, 친척

⇒ 너무 친한 몇 안되는 친구, 사촌 결혼식

● 30만 원 이상 : 인생 친구

⇒ 가족과 동급인 친구, 돌려받아야겠다는 생각이 없는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 친구




2. 역대 축의금 평균 액수

▶ 축의금 액수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지만 물가 상승 속도가 전보다 빨라지는 만큼 평균 금액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 2001년도 축의금 액수

● 기본 금액 : 3만 원 (45%)

① 3만 원② 1~2만 원③ 4만 원 ~ 5만 원④ 5만 원 이상
45%40%11%4%
과거 축의금 액수 (2001년)


(2) 2005년도 축의금 액수

● 기본금액 : 3~5만 원 (52%)

① 3~5만 원② 3만 원③ 5만 원 초과
52%44%4%
과거 축의금 액수 (2005년)


(3) 2017년도 축의금 액수

● 기본 금액 : 5만 원 ~ 7만 원 (58%)

① 5~7만 원② 3~5만 원③ 7~10만 원④ 10~13만 원
58%25%6%5%
과거 축의금 액수 (2017년)


(4) 2023년도 축의금 액수

● 기본 금액 : 5만 원 (53%)

① 5만 원② 5∽10만 원
53%44%
과거 축의금 액수 (2023년)

⇒ 몇 년 전만 해도 거의 대부분의 축의금은 5만 원 선이었는데 작년부터는 5만 원과 10만 원이 거의 동등한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만큼 축의금 금액도 많이 올라간 것으로 보입니다.





3.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결혼식 축의금 봉투에는 보통 ‘축 결혼’이라고 적혀있습니다.

▶ 축 결혼 = 결혼을 축하합니다.

● 빌 축 : 祝

● 맺을 결 : 結

● 혼인할 혼 : 婚

⇒ 이름은 봉투 뒷면 좌측(왼쪽) 아래쪽에 세로로 적습니다.

축의금 봉투 작성 방법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